• 2025. 1. 10.

    by. 모두에게 유익한 복지정보

    오늘은 자녀 출산 무주택 가구를 위한 주거비 지원사업에 대해 안내드리고자 합니다. 많은 부모님들께서 안정적인 주거 환경에서 자녀를 양육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잘 알고 계실 것입니다.

     

    하지만 무주택 가구의 경우, 주거비 부담이 커서 어려움을 겪는 현실도 있습니다. 이러한 고민을 덜어드리기 위해 정부에서는 자녀 출산 무주택 가구에게 주거비를 지원하는 사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번 블로그 포스팅에서는 자녀 출산 무주택 가구 주거비 지원사업의 신청 방법, 자격 대상, 그리고 필요한 제출 서류에 대해 상세히 안내드리겠습니다. 안정된 주거 환경에서 사랑하는 자녀를 키우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 목차 ]

       

      자녀 출산 무주택 가구 주거비 지원사업 신청방법 및 자격대상, 제출서류 알아보기
      자녀 출산 무주택 가구 주거비 지원사업 신청방법 및 자격대상, 제출서류 알아보기

       

      자녀 출산 무주택 가구 주거비 지원사업

       

       

      자녀 출산 무주택 가구 주거비 지원사업은 매달 30만 원씩, 총 2년 동안 지원해 주며, 총 720만 원의 금액이 지원됩니다. 출산 후 경제적 부담이 커지는 시기에 이러한 지원은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또한, 안정적인 가정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어 부모님들께서 자녀를 양육하는 데 보다 편안한 마음을 가질 수 있을 것입니다.

       

       

      자녀 출산 무주택 가구 주거비 지원 자격 대상

       

      자녀 출산 무주택 가구 지원사업은 아래의 자격 요건을 충족하는 가구에 해당합니다.

       

       

      기본 자격 요건

       

      구분 2025년 기준 중위소득 180%
      1인 가구 4,305,623
      2인 가구 7,078,784
      3인 가구 9,045,635
      4인 가구 10,975,991
      5인 가구 12,794,746
      6인 가구 14,516,649

       

      • 2025년 1월 1일 이후 출산한 가구 (입양아의 경우, 신청일 기준 출생일로부터 48개월 이하인 아동이 포함됩니다.)
      • 신청일 기준 신청자(부 또는 모)가 서울시에 거주하며, 신청자와 자녀가 동일 주소에 있어야 합니다.
      • 자녀는 서울시에 출생신고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 출산 후 1년 이내에 신청해야 합니다.
      •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인 가구여야 합니다.
      • 출산 가구를 대상으로 하는 주거 관련 정부 및 서울시 정책의 수혜자가 아니어야 합니다. (예: 신혼부부 전용 전세자금 대출 등)

       

      주거 요건

       

      • 신청일 기준 부, 모 모두 무주택이어야 합니다.
      • 신청일 기준 공공임대주택에 거주하지 않아야 합니다. (SH 장기전세주택, 청년안심주택 등 포함)
      • 전세보증금 3억 원 또는 월세 130만 원 이하의 주택이어야 하며, 주택 면적은 전용 85㎡ 이하여야 합니다.
      • 전세보증금 이자 납부 또는 월세 납부가 있어야 신청이 가능합니다.

       

      자녀 출산 무주택 가구 주거비 지원 제출서류

       

      자녀 출산 무주택 가구 주거비 지원 신청을 위해 요구되는 서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 확정일자 날인된 임대차계약서 전체 사본
      • 금융거래확인서 또는 월세 이체증 (해당하는 경우)
      • 청약홈 주택소유현황 (부, 모 모두 제출)
      • 가족관계증명서 (부, 모 모두 제출)

       

      자녀 출산 무주택 가구 주거비 지원 신청방법

       

      자녀 출산 무주택 가구 주거비 지원사업의 신청은 몽땅정보 만능키 홈페이지를 통해 가능하십니다. 단, 신청은 2025년 5월경부터 시작될 예정이니, 관심 있으신 분들은 그 시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추가적인 문의사항이 있으신 경우, 다산콜센터(02-120)로 연락해 주시면 친절하게 안내받으실 수 있습니다.